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afin
- tea1
- krestaurant
- ktrip
- 국제시장
- 부산
- 나인주작가
- 송정해수욕장
- koreantrip
- kfood
- SouthKorea
- Korea
- 부산골목
- 카멜앤오아시스
- 부산카페
- 호랭이마을
- 아치베이커리
- 영도
- 부산맛집
- 부산밥집
- 물밀면
- koreancafe
- Busan
- 부산명소
- 사계절밀면
- camelandoasis
- 돼지국밥
- KoreanFood
- 루미네수녀기념관
- kcafe
- Today
- Total
부산스런가이드

남포동에서 젊은 시절 배우신 실력으로 '밀면' 생활의 달인이 되신 진영의 '사계절 밀면', 맛집소개와 맛집위치 그리고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부산에서 아내에게 처음으로 소개받은 맛집이자 밥집이 바로 '개금밀면'이다. 그곳에 처음에 갔을 때는 앳띤 여고생이 주문도 받고 서빙도 해주었고 주방이 훤히 보이게 배치되어 뭔가 맛과 친절이 그대로 느껴지는 곳이었다. 어느 순간 개금밀면이 안쪽으로 확장이전을 하면서 가격도 오르고 서빙도 없어지고 번호표를 받아서 띵동하면 받아서 먹는 시스템이 되었다. 무엇이 틀리고 맞는 것이 아닌 시대가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맛도 예전만큼 맛있는 느낌이 아닌데 그건 그저 느낌일 것이다. ..

동래파전의 원조는 동래시장안 선지국집에서 시작되었다. '원조선지국밥', 맛집소개와 맛집위치 그리고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부산에서 밀면과 돼지국밥이 독보적인 향토음식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그에 못지않은 향토음식이 있는데 꼭 부산에서만 맛보는 것이 아니라 부산에서도 유명한 먹거리가 되고 있는 것들이다. 그중에 하나가 금정산성 누룩막걸리이고 또 하나는 동래파전이다. 어느 가게는 동래파전만 2만원이 넘는다고 하던데 필자가 간 동래시장안의 파전은 처음 갔을 때는 8,000원이었다. 파전이 밥이 아닌 안주거리로 생각한다면 많이 저렴한 편이다. 2023년 최근에 가본적은 없지만 해물파전이 1만원은 조금 넘는 것으로 들었다..

시아버지의 원동재배 콩과 직접 담그는 국산김치의 조합으로 만나는 차지않은 콩국수집 '소문난 촌국수', 맛집소개와 맛집위치 그리고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부산지하철 1호선 구서역앞에 있는 이 소문난촌국수는 원래 칼국수 국물이 유명한 맛집이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지인중에 아는 교수님도 또 남산동 유지이신 분도 이곳을 칼국수가 아닌 콩국수가 좋다고 추천도 해주시고 친히 동행하시어 콩국수를 사주신 곳이다. 그래서 가서 맛을 보니 왜 그렇게 추천을 하시는지 알것 같았다. 서울이 고향이신 사장님은 부산 남편분을 만나 부산에서 생활하신다. 필자도 서울출신인 것을 감안하면 동병상련이랄까? 어떤 면에서 반가운 마음이다. ..

호랑이가 출몰할 정도로 깊은 '안창마을', 그 골목을 거닐다. 범천, 호계, 호천. 모두가 호랑이와 계곡을 뜻하는 안창마을. 안창마을 소개 및 사진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한국전쟁때 부산은 말그대로 피난민들의 천지였다. 어찌되었던 피난온 이들은 어디엔가에 거처를 마련하고 또한 생계를 책임지려는 활동을 해야만 했다. 그래서 부산은 유독 다른 도시보다 산복(산허리, 부산말로 산만디)이 발달한 도시다. 산복도로가 산동네의 길이 아니라 일상의 길이 된 도시인 것이다. 그렇게 삶을 살아가야 했던 우리네의 아버지, 어머니들의 삶의 현장이기도 했다. 그래서 부산에는 산복이 1층, 2층으로 겹겹이 올라가고 그 길을 마을버스..

극단적으로 깔끔한 수제비의 정석을 만난다. 광복동의 숨은 2층에 있는 맛집 '남포수제비', 맛집소개와 맛집위치 그리고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수제비를 개인적으로 많이 좋아한다. 물론 손으로 직접 뜯은 손수제비를 의미한다. 언젠가 작고 허름한 삼청수제비를 가서 처음에 반한 것은 그 육수의 맛에 반하고 둘째는 쫄깃한 수제비에 반했다. 그리고 술 한잔하고 잠도 깰겸 노량진에 내려서 정진학원앞에 아재수제비를 꼭 들렀다. 아재가 손으로 뜯어서 배부르게 담아주는 수제비는 가끔 생각난다. 그 아들이 숫기가 없어서 말없이 어느날 아버지의 가게를 물려받았다. 며느리가 같이 나와 손님에게 말을 건넨다. 그렇게 그 아재수제비는 ..

음악과 일러스트가 즐겁게 공존하는 디자인샵, '카멜앤오아시스' 전포동에서 남천동으로 오다! 카멜앤오아시스 새공간 소개 및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처음 카멜앤오아시스의 일러스트를 만난 건 바로 홍대 상상마당의 문구코너에서였다. 음악을 무지무지 좋아하는 필자에게 음악과 관련된 일러스트 포스터를 사고 싶었는데 품절이라고 하여 구입하지 못하고 부산을 내려왔었다. 위에 쥐 두마리가 턴테이블을 옮기는 이 포스터를 구입하고 싶었었다. 그런데 나중에 카멜앤오아시스에 오고서야 부산의 일러스트 작가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반가우면서 품절걱정 없이 구입할 수 있게 되었고 또 새로운 작품들도 가까운데서 만나겠구..

영국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서핑을 정말 좋아하는 디자인샵, '그라핀'의 그곳을 가다. 그라핀 소개 및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부산의 독특한 디자인 혹은 아트샵들이 종종 있다. 오늘 소개하는 이곳도 디자인샵이다.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한 상품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인 것이다. 커피도 팔지만 커피숍으로 보기에는 커피는 부수적인 것이다. 필자가 뭔가 느낌이 다른 인테리어며 디자인 상품들을 보니 뭔가 국내가 아닌 해외의 느낌이 들어서 오너에게 물어보니 영국에서 디자인을 공부했다고 전했다. 서핑이 너무 좋아서 그래서 송정바다를 언제든 달려갈 수 있는 위치에 샵을 열었다고 한다. 그래서 서핑을 사랑하는 디자이너의 작은 가게랄..

해운대 마린시티에서 만나는 24시간 따뜻한 곰탕 한그릇! 해운대 한화리조트 바로앞에 '이레옥', 맛집소개와 맛집위치 그리고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사실 필자가 가던 초창기에는 김천유기에서 제작한 놋쇠수저로 상당히 정성을 드리는 곰탕이었다. 그 이후 주인이 바뀌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고기의 양도 작았다가 수저도 그냥 스테인리스 수저에 또 기본 국물의 간이 달라서 정상적인 항상 넣던 소금의 양에도 국물이 짠 적도 있다. 그런 과정에 과정을 거쳐 지금의 이레옥에 이른다. 지금의 이레옥은 맛이 나쁘지 않다. 그리고 코로나며 원자제 상승 등 여러가지 이유로 가격이 많이 올랐다. 그래서 고기도 양이 전에 그 양으로 회복..

낙동강변의 노을을 제대로 만끽하는 아티스틱한 클래식 디자인카페, VSANT(비상) 카페소개와 카페위치 그리고 소감 글. 강성규 다니엘 https://www.instagram.com/danielstreetphoto9/ 들어가는 글 부산에서 관광지로서 가장 약한 구가 있다면 바로 사상구가 아닐까? 사상공단은 이미 부산에서도 다양한 도매물품과 건축, 전기 등등 다양한 공업적 서포팅을 하는 공단이 거대하게 자리잡은 곳이다. 그리고 엄궁동의 청과물시장과 화예단지 등 관광지의 성격보다는 산업적인 보조기능의 단지들이 많은 곳이라 더 그러한 듯 하다. 그렇게 사상구에 이리도 멋진 카페가 생길거라고 예상한 사람은 몇명이나 될까? 아마도 사상공단의 전성기는 지난듯 하고 지금도 사상공단과 그 배후지역의 재생활동과 공단 근무..